본문 바로가기
SMALL

수련2

“나는 누구인가, 왜 지금인가?” — 수련·수행의 첫 단추를 다시 채우자 수련·수행의 근본은 ‘나를 찾는 것’입니다. 과거엔 목적이었지만 지금은 출발선입니다. 호흡·기술은 덤, 설계와 공공성이 본론입니다. 🌱 “나를 찾는 일”이 목적이던 시대를 지나서 🔎수련·수행의 근본 원칙은 첫째도, 둘째도 자기를 찾는 것입니다. 과거의 수행법은 “나는 누구인가”를 묻고, 그 깨달음에 도달하면 수행의 종점으로 여겼습니다. 그러나 오늘의 시대는 다릅니다. “너 자신을 알라”(소크라테스)가 더 이상 완주선이 아니라 출발선입니다. 이제는 나를 알고 난 뒤 본격적인 수행과 실천이 시작됩니다. 과거에는 “나를 찾기 위한” 수행이 전부였지만, 미래의 수행법은 자기 인식 → 설계 → 실천의 순서로 사회적 효용까지 닿아야 합니다.수련의 첫 단추 — 자기 인식, 설계, 그리고 현장1) 수련은 기초, 수.. 2025. 9. 26.
“기운부터 달라고요?—수련은 욕심이 아니라 ‘설계’입니다” 수련은 기운을 당기는 일이 아니라 삶의 설계를 세우는 일이다. 욕심을 내려놓고 사명·준비·현장 경험을 통해 내공을 쌓을 때, 단계는 저절로 열린다.기운이 먼저가 아니라, 설계가 먼저다 🧭많은 이들이 “2단계, 3단계” 같은 단계표를 들고 수련의 성과를 재려 합니다. 하지만 기운은 욕심으로 끌어오면 주인을 친다는 사실을 놓칩니다. 무엇을 위해, 누구를 위해, 어떤 일을 하려고 그 힘을 청하는지 먼저 설계해야 합니다. 설계 없는 성급한 집중·호흡·기공은 잠깐의 고양은 줄지 몰라도, 삶의 균형을 무너뜨리며 몸과 관계에 부작용을 남깁니다. 이제 욕심 대신 원리, 비법 대신 기초로 돌아갈 때입니다.수련의 첫 단추 — 원리, 준비, 그리고 현장1) 욕심을 비우고 목적을 세우는 순간, 길이 열린다 🎯질문 1: 이.. 2025. 9. 25.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