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누구나 자리를 분별할 줄 알아야 합니다. 지금의 자리가 나를 살리는가, 아니면 서서히 망가뜨리는가? 불편함과 불평의 경계를 읽는 법.
🪑 사람에겐 '자리'가 있다
우리는 매일 어디엔가 ‘앉아’ 있습니다.
가정, 직장, 인간관계 속에서 그 자리가 나를 살리고 있는지, 아니면 망가뜨리고 있는지를 인식하지 못한 채 그냥 버티고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하지만 때로는 떠나야만 하는 순간이 있습니다.
그 자리가 더 이상 ‘내 자리’가 아닐 때, 불만이 나를 지배하고 탁한 기운이 나를 삼켜버릴 때 — 그때는 일어서야 합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어떨 때가 '뜰 자리'일까요?
🔍 앉아 있을 자리 vs 떠나야 할 자리
1. "불만이 입을 타고 나올 때"
마음속 불만이 30% 정도일 때는 그 자리에서 공부할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내가 성장할 기회를 잡고 있다는 뜻이니까요.
하지만 그 불만이 70%를 넘어서면? 그때는 내가 병들어가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내가 불만을 말로 하게 되었다면, 이미 떠나야 할 때다.”
시어머니의 말이든, 남편의 반응이든, 회사 상사의 말투든 —
그 모든 것이 날카로운 가시로 다가오고 마음을 찌르기 시작했다면, 그건 더 이상 견딜 일이 아니라 떠나야 할 일입니다.
2. "공부하러 간 자리인가, 그냥 간 자리인가"
어떤 관계나 장소든 **‘공부하러 들어간 자리’**라면, 탁한 말을 듣고도 소화하며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냥 억지로 끌려 들어간 자리는 탁한 기운을 그대로 맞고 쓰러지게 됩니다.
받아들이는 게 아니라 받치는 것만 하다 보면 결국 무너진다.
이해와 성장의 태도로 그 자리를 ‘공부의 장’으로 바꾸지 못할 때, 거긴 나의 자리가 아닙니다.
3. "떠나는 이유가 ‘내 잘됨’ 때문이라면?"
“더 이상 못 참아, 내가 더 잘 돼야지.”
이런 마음으로 자리를 뜨는 건 위기를 회피하는 것일 뿐, 제대로 된 이탈이 아닙니다.
진짜 떠나야 하는 이유는,
그 자리에 남아 상대와 자신에게 상처를 주지 않기 위해서여야 합니다.
“상대를 위해 물러나는 것, 그게 진짜 뜰 자리다.”
떠나는 것조차 배려와 분별의 철학이 담겨야만, 그것이 나의 삶에 복으로 돌아옵니다.
🌱 결론: 용기 있는 자만이 '새로운 자리'를 만난다
떠난다는 건 익숙한 것과의 이별입니다.
불편함과 불만 사이에서, 내가 아직 공부하고 있는 중인지, 아니면 이미 소진되어 가고 있는지를 정확히 분별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분별의 끝에는 떠날 용기가 필요합니다.
새로운 자리를 만나기 위해,
나의 마음이 더 이상 탁해지지 않게 하기 위해,
누군가를 탓하며 그 자리에 머무르지 않기 위해.
“내가 불만을 말하고 있다면, 그건 신호다. 지금이 바로 떠날 시간이다.”
떠나는 게 두려운 건, 떠나는 법을 몰라서가 아니라
내가 떠나도 괜찮다는 믿음이 없어서입니다.
하지만 기억하세요.
‘앉을자리’를 알아본 사람만이, ‘살 자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 느낀 점이나 생각을 자유롭게 공유하는 시간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