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끝까지 말해야 할까, 아니면 조용히 물러나야 할까?"

by 신과 함께하는 일상의 깨달음 2025. 8. 13.
SMALL

부모와 성인 자녀 사이의 갈등은 ‘주장’이 아닌 ‘의논’에서 풀립니다. 물러남은 패배가 아니라 관계 회복의 시작입니다.


ChatGPT (DALL·E) / 상업적 사용 불가

며칠 전, 저는 아이와 작은 갈등을 겪었습니다. 헬스장에서 10시까지 오기로 했는데, 10시 04분이 지나도 오지 않았습니다. 사소한 시간문제였지만, 저는 “너무 융통성이 없으면 사회성도 떨어질 수 있다”는 말을 꺼냈고, 대화는 점점 답답하게 흘러갔습니다. 시간이 지나며 ‘내가 잘못한 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었고, 앞으로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

1. 주장 대신 의논이 필요한 이유

아이와의 갈등에서 부모가 먼저 강하게 주장을 하면, 자녀는 의논의 장을 닫아버립니다.

특히 성인이 된 아이에게 부모의 ‘내 방식’을 강요하면, 그것은 자녀의 인생을 자신의 틀에 맞추려는 행동이 됩니다.

결국 자녀는 싸움이나 침묵 중 하나를 선택하고, 마음속에 부모와의 보이지 않는 벽을 쌓게 됩니다.

2. 물러남이 주는 변화

대화가 막힐 때는 “내가 미안하다, 이해를 잘 시키지 못한 것 같다”라고 말하며 물러서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엔 자녀가 크게 반응하지 않지만, 두세 번 반복되면 ‘부모가 달라졌다’는 것을 느끼고, 서서히 대화에 마음을 열게 됩니다. 부모가 먼저 다른 행동을 하면, 자녀도 변화하기 시작합니다.

3. 의논 문화가 사라진 이유

우리 사회에는 ‘의논’이 부족합니다. 오랫동안 우리는 듣고, 보고, 주입받는 교육에 익숙해져 왔습니다.

유치원부터 대학까지 연구하고 토론하는 문화 대신, 지식을 ‘넣는’ 방식이 자리 잡았습니다.

그 결과, 소통과 의논이 아닌 ‘주장’이 대화의 중심이 되었고, 관계가 쉽게 경직됩니다.

4. 가정에서 시작하는 연구·의논 교육

홍익인간의 정신은 함께 연구하고 성장하는 데 있습니다.

자녀가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집에서 이야기하도록 하고, 부모는 그것을 함께 분석하고 의견을 나누는 방식으로 대화를 이어가야 합니다. 이 습관은 성인이 된 이후에도 자녀가 부모와 의논하는 문화를 유지하게 만듭니다.


결론

갈등은 피할 수 없지만, 풀어가는 방식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주장 대신 의논을, 강요 대신 물러남을 선택하면, 자녀와의 관계는 훨씬 부드러워집니다.

부모의 ‘이김’이 목표가 아니라, 관계의 ‘회복’이 목표가 될 때, 대화는 닫힌 문이 아닌 열린 다리가 됩니다.

아이와의 갈등 속에서 물러남은 패배가 아니라, 더 깊은 신뢰를 만드는 전략입니다.

 

✅ 느낀 점이나 생각을 자유롭게 공유하는 시간을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서비스~ 😘